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

호흡의 중요성과 몸 속에서 일어나는 과정들 호흡은 우리가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과정 중 하나입니다. 호흡을 통해 몸속에서는 다양한 작용들이 일어나는데, 이 과정은 생명 유지에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호흡의 중요성과 호흡 시 몸속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호흡의 기본 원리호흡은 크게 두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흡기(숨 들이마시기)와 호기(숨 내쉬기)입니다. 이 과정은 주로 폐와 횡격막, 호흡 근육들에 의해 조절됩니다. 1. 흡기 (숨 들이마시기) : 공기가 코나 입을 통해 들어와 기관지와 폐로 들어갑니다. 이때 횡격막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흉곽이 확장되고, 공기가 폐로 들어갈 공간을 만듭니다. 이 과정에서 폐포(허파꽈리)라는 작은 공기주머니에 산소가 들어갑니다. 2. 호기 (숨 내쉬기) : 횡격막이 올라가면서 흉.. 2024. 5. 29.
복근이라 부르는 근육들 복직근 (Restus abdominis muscle)기시점(Origin) : 치골능정지점 (Insertion) : 5,6,7번째 늑골의 연골과 검상돌기동작(Action) : 양측은 요추의 골곡과 골반의 후방 회전, 우측은 우측으로의 약한 외측 굴곡, 좌측은 좌측으로의 약한 외측 굴곡 외복사근(배바깥빗근, External oblique abdominal)기시점(Origin) : 전거근과 연접하고 있는 가슴의 측면에서 하위 8개 늑골의 가장자리정지점(Insertion) : 장골능 전면의 1/2, 서혜인대, 치골능, 전면에서 하부 복직근의 건막동작(Action) : 양측은 요추의 굴곡과 골반의 후방회전,                        우측은 우측으로의 요추의 외측 굴곡과 좌측으로의 회전, 좌측으로의.. 2024. 5. 23.
우리가 다치지 않게 해주는 신장 반사와 골지힘줄기관 신장 반사반사는 의식적인 생각이 관여하지 않는 자극에 대한 자동 반응입니다.  특정 동작을 하려는 의도가 없었지만, 그냥 일어나는 것이죠.그 중 신장 반사는 근육이 갑자기 늘어났을 때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근육을 수축시켜 원래 길이로 되돌리는 반사입니다. 이 반사는 근육의 길이를 조절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근방추(Muscle spindle) : 근육의 길이 변화를 감지하는 수용체감각 신경 : 근방추에서 생성된 신호를 척수로 전달운동 신경 : 척수에서 신호를 받아 근육을 수축시키는 신경신장반사의 대표적인 예로는 슬개건 반사(무릎 반사) 입니다. 대퇴사두근의 근방추는 망치로 무릎 힘줄을 두드려서 유도된 빠른 신장으로 흥분합니다. 반사궁은 재빨리 반응하여.. 2024. 5. 22.
장요근과 대둔근 장요근(엉덩허리근, Iliopsoas)기시점(Origin)장골근 : 장골의 안쪽면대요근과 소요근 : 요추 L1~5(대요근, 소요근)의 횡돌기의 하부 경계, 마지막 흉추(T12) 추체의 측면과 모든 요추(L1~5)의 척추 간 섬유연골 그리고 천골의 기저면(대요근과 소요근)정지점(Insertion)장골근과 대요근: 대퇴골과 소전자의 바로 아래 골단소요근 : 치골의 치골선과 장치융기(장골치골의 융기) 동작(Action)고관절의 굴곡골반의 전방회전고관절의 외회전동측성 대퇴골이 안정화되었을 때 골반의 반대 방향으로의 횡회전요추의 굴곡(대요근과 소요근)요추의 요측의 측방굴곡반대 측에서 골반의 외회전 대둔근(큰 볼기근, Gluteus maximus)기시점(Origin)장골능의 후방 1/4, 장골 근처의 천골과 미골의.. 2024. 5. 20.
유산소 운동의 효과 유산소운동은 심박수를 증가시키면서 일정한 기간 동안 꾸준하게 신체를 활동시키는 유형의 운동입니다. 이러한 운동은 다양한 신체 부분과 시스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전반적인 건강과 신체 컨디션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심혈관 체력 향상심혈관 체력은 우리 심장과 혈관이 얼마나 잘 일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이건 마치 우리 몸의 도로 시스템과 같다고 보실 수 있습니다.  심장은 몸 안에 있는 모든 혈관으로 피를 펌프질 해서 산소와 영양분을 모든 곳에 전달해 줍니다. 그런데 이 심장과 혈관을 강화하려면 우리는 유산소 운동을 해야 합니다. 유산소 운동은 몸을 계속해서 움직이게 해주는 운동입니다.  예를 들면 뛰기, 수영, 자전거 타기 등과 같은 운동이 있습니다.  이런 운동을 하면 심장은 더 빠르게 일하고,.. 2024. 5. 2.